여헌 장현광

  • 생애와 학문
  • 주요저서
  • 유적
  • 유품
  • 문인들

주요저서

> 여헌 장현광 > 주요저서 > 성리설
여헌성생문집
성리설
역학도설
용사일기

여헌 저술 중 성리학에 관한 논저만 모아 놓은 역작
60대 후반 이후의 말년 저술 중심...조선성리학 연구의 귀중 자료

편찬 및 간행

여헌 선생의 저술 중에서 성리학에 관한 논저만을 모아 엮은 책. 8권 6책이며 목판본이다. 서문과 발문 등이 없어 편집과 간행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연보」에 따르면 68세(광해군 13년, 1621)에서 81세(인조 12년, 1634)까지 14년에 걸쳐 저술된 말년의 저술임을 알 수 있다.

여헌이 제시한 성리학 이론의 요체가 담긴 『성리설』. 도덕적 이상 사회 구현을 위한 여헌의 지향이 온축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저작 연대순이 아니라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 편집되었는데, 문집에 수록되지 않고 단행본으로 간행, 유포되었다.
권 1은 「도서발휘편제(圖書發揮篇題)」, 권 2는 「역괘총설(易卦總說)」, 권 3은 「태극설」, 권 4·5는 「경위설(經緯說)」, 권6은 「경위배설첩서(經緯排說帖序)」, 권 7은 「만학요회(晩學要會)」, 권 8은 「우주설(宇宙說)」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서발휘편제」는 송대 도서학(圖書學)의 관점을 계승하여 이기(理氣), 상수(象數)와 도(道) 및 태극과의 관계를 밝힌 것이다. <
신증(申增) >에서는 하도와 낙서의 수와 배위(排位)에 대해 비교 설명하고 있다. 「도서총수설(圖書總數說)」에서는 하도와 낙서의 수를 총론하였다.
「역괘총설」은 태극의 리와 역의 괘효와의 관계를 밝힌 것이다. 여기에서 역을 ‘리경(理鏡)’, ‘도범(道範)’, ‘덕전(德田)’이라 함으로써 자신의 독특한 역학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태극설」에서는 태극에 관한 경전과 선유(先儒)의 학설을 인용하고 태극을 ‘도덕의 두로(頭顱)’라 하여 태극의 궁극적인 의미가 도덕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어 「제설회통(諸說會通)」에서 태극의 의미를 15조목으로 설명하였으며, 「무극태극설(無極太極說)」에서 무극이 태극의 특성을 밝히는 것임을 논한 다음 「태극설부록」을 덧붙이고 있다.
「경위설」은 여헌의 독특한 이기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글이다. 여기에서 여헌은 이기뿐만 아니라 천지, 인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경위에 비유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주경치위(主經治緯)라는 경위의 관계를 통해 인간의 당위를 밝히고 있다. 「역인경전(曆引經傳)」에서는 하도·낙서와 태극·양의(兩儀)·4상(四象)·8괘 및 경전과 송대 성리서에 있는 설과 경위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경위설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학설이라는 점에서 한국 유학사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이기론에서는 이황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부정하고 이기일물설(理氣一物說)을 주장함으로써 이이의 학설에 찬동한 듯하지만,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는 달리 이(理)의 능동능발(能動能發)을 인정하고 있다.
「만학요회」는 이간(易簡)·근사(近思)·분합(分合)의 3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간’ 편에서는 건곤괘의 이지(易知)·간능(簡能)의 의의를 설명하고 인간 또한 이 이간의 도리에 따라 본분사의 당연지칙을 다할 것을 말하였다. ‘근사’ 편은 몸에는 법칙이 있어야 하고, 심은 성(誠)해야 하며, 성은 선하며, 정(情)은 정(正)해야 하고, 도(道)는 중(中)해야 하며, 덕은 경(敬)에서 이루어지고, 학문은 완성되어야 한다는 7항목을 논한 것이다. ‘분합’ 편은 모든 도리가 처음에는 일(一)에서 변하여 나누어지고〔分〕, 마지막에 다시 합(合)하게 된다는 것을 이기·천지로부터 이수(理數)·동이(同異)에 이르기까지 34조목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우주설」은 무한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여헌의 입장이 잘 피력된 글로서 무한한 시공인 우주의 법칙을 밝힘으로써 유한한 시공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당연법칙을 밝히려는 것이다. 첫째 는 이기체용(理氣體用)의 무궁한 묘리를 논한 것이며, 그 다음은 온갖 만물이 서로 갖추어진 이치를 논한 것이다. 셋째의 것은 따로 제목이 없으며, 마지막에 「답동문(答童問)」을 덧붙여 결국 무궁한 우주의 이치는 돌이켜 나의 방촌지중(方寸之中)에서 구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 책은 여헌의 성리학 이론을 총망라하여 엮은 것으로 특히 성리학 이론과 역학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조선조 성리학 및 유학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